2008. 8. 26. 16:15
유가 급등락과 미국 서브프라임 사태 등으로 인해 국제 금융시장이 불안해지면서 신흥경제권 국가들의 경제위기 재발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신흥경제권의 경제위기 발생 가능성을 짚어봄으로써 글로벌 기업들의 비즈니스 리스크 관리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일반적인 조기경보시스템에 의거한 분석틀과 ‘수형도(tree diagram) 분석 모형’을 결합해 현실성 있는 진단 결과를 도출한다.
분석 결과, 글로벌 금융쇼크가 발생할 경우 베트남, 우크라이나, 라트비아 등 6개국은 대외 충격에 취약해 외환위기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특히 라트비아, 불가리아, 리투아니아 3개국은 외환위기 뿐만 아니라 외채위기의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과거 수차례 외채위기를 겪었던 브라질, 칠레, 러시아 등은 대외거래 지표들의 개선으로 외환위기나 외채위기 가능성은 별로 없으나, 은행이나 카드사 등 금융기관 및 개인신용 부실에 의한 금융위기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I. 서론
유가 급등락과 미국 서브프라임 사태의 뒤를 이어 세계 경제 곳곳에서 적색 신호등이 켜지고 있다. 인플레이션 압력 상승이 실물경제를 위축시키고, 글로벌 유동성 위축 등 선진권 금융시장 불안에 따른 자본 흐름의 변화가 베트남, 불가리아 등 신흥경제권(new emerging economy)에 큰 충격을 줄 것이라는 우려가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지난 세기 동안 미국, EU, 일본 등 선진권 경기의 부침에 따라 함께 춤추는 양상을 보여왔던 세계 경제는 2000년대 이후 중국, 인도 등 신흥경제권의 부상으로 성장의 축이 다변화되면서 꾸준한 성장세를 보여 왔다. 이른바 ‘장기적 안정(Great Moderation)’ 시기에 접어들었다는 평가마저 나올 정도였다. 그러나 전세계적 자본시장 개방 움직임과 미국-동아시아 간 국제수지 불균형(Global Imbalance) 심화로 말미암은 금융시장 혼란이 맞물리면서 선진국과 신흥경제권이 함께 위협을 받는 모양새로 바뀌고 있다.
최근 유가 상승세가 잠시 멈추고 미 달러화 가치가 조금씩 회복세를 나타내면서 신흥경제권 위기를 촉발시킬 수 있는 가시적인 요인들이 다소 줄어든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지난해 평균 가격에 비해 여전히 50% 이상 높은 원자재 가격과 계속 이어지는 미국 금융기관들의 부실 소식을 고려하면 상황이 악화될 가능성은 여전히 높은 형편이다.
이 글의 목적은 세계 경제 곳곳에 산재한 불안 요인들이 예기치 못한 변수에 의해 새로운 위험을 촉발할 경우 신흥경제권 국가들에서 나타날 수 있는 위기의 형태와 리스크 수준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경제위기의 종류와 원인, 확산 과정 및 사전 예측에 대한 기존 연구 성과를 살펴본다. 이어 신흥경제권 주요국들이 처해 있는 현재 상황을 진단하고, 위기가 현실화될 경우 우리 기업들에게 미칠 영향을 전망한다.
II. 경제위기의 이해
경제위기는 일반적으로 한 나라 혹은 한 지역 경제가 예기치 않게 통제 불가능할 정도의 급변동 상황에 빠지는 상황을 의미한다. 위기를 정의하고 식별하는 방식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경제학자들은 1970년 이후 지금까지 약 100차례의 경제위기가 있었던 것으로 집계하고 있다.1) 경제위기의 징후를 포착하고 이에 적절히 대비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점들을 이해해야 한다.
먼저, 경제위기에는 서로 구분되는 다양한 유형이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그래야만 적절한 대응책을 마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는 위기의 징후와 증상에 따라 △은행이나 신용카드 회사 등이 지급 불능 사태에 빠지는 금융위기 △자국 통화가 급격하게 절하되는 외환위기 △국내 유동성이 부족해 대외 채무를 이행하지 못하는 외채위기 등으로 분류된다. 발생 원인에 따라 △경상수지 및 재정수지의 취약성, 기업과 금융권의 재무건전성 악화, 외채 구조의 급변 등 국내 요인에 따른 위기와 △글로벌 유동성 변동, 해외 경제주체들의 기대의 변화에 따른 자기실현적(self-fulfilling) 위기 등 해외 환경 변화에 따른 위기로 구분되기도 한다. 발생 시기를 기준으로 경제위기의 단계 구분이 이루어지기도 한다.2) Kaminsky 등에 따르면 경제위기는 시기별로 삼분할 수 있다고 보는 바, △1세대 위기(first-generation model) : 수입대체 산업화 전략과 고정환율제, 무분별한 재정지출 및 통화증발 등을 원인으로 하는 1960, 70년대 브라질, 아르헨티나, 멕시코 등 중남미 국가들의 경제불안 △2세대 위기 : 경기조정을 위한 정부의 과도한 정책 개입이 경제주체들의 기대나 각종 루머와 맞물려 자기실현적 위기를 초래한, 1990년대 초 유럽 통화통합 시기 영국, 이탈리아 등의 외환시장 혼란 사태 △3세대 위기 : 불완전 정보와 도덕적 해이가 결정적 요인이었던 1990년대 중남미와 아시아 5개국의 외환위기 등이 그것이다.
둘째, 경제위기의 탐지와 경보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위험에 대한 조기경보 시스템(EWS·early warning system)이 갖춰지면 위기 발생을 막기 위한 선제적 정책 대응이 가능해 사태 악화를 상당 부분 막아줄 수 있기 때문이다. 경제위기를 예측하기 위한 노력은 여러 가지 위험 징후가 실제 위기로 이어질 것인가를 판단하는 임계 기준에 관한 연구, 예측 결과의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 등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다. 위기의 원인과 성격이 시대별로 다르게 나타남에 따라 이런 변화 추세를 모형에 반영하기 위한 노력도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세계 경제의 개방과 통합 진전으로 경제환경의 변화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이러한 분석 모형이 갖는 한계가 두드러지고 있는 상황이다.
셋째, 다양한 위기 각각의 유형별 전개 패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는 경제위기 징후가 나타날 때 향후 전개 방향을 예측하고 대응책을 마련하는 데 도움을 준다. ‘외환위기-금융위기-외채위기’의 3분법을 따를 경우, 외환위기와 외채위기는 원인이나 파급 경로 면에서 상당 부분 일치하는 반면 금융위기는 각국 고유의 경제 상황에 따라 진행 경로가 달라진다. 예컨대 1980년대 초와 1990년대 말 중남미 각국의 외채위기나 1992년 영국 파운드화 폭락, 1997년 아시아 각국 통화의 폭락과 같은 외환위기는 글로벌 자본 이동의 급변에 대한 미숙한 정책 대응이 주 원인이었으며, 그 영향은 국제 금융시장 전체의 신용경색으로 이어졌다. 반면 대표적 금융위기 사례인 1980년대 미국의 저축대부조합 파산과 1998년 롱텀캐피탈(LTCM) 파산, 2004년 한국의 신용카드 사태 등은 급격한 금리 변동이나 금융감독 제도 부실, 신용정보 왜곡 등이 원인이었고 사태의 파급 범위 역시 국내 경제로 국한되었다.
조기경보시스템(EWS)의 한계
많은 경제학자들은 경제위기에 대한 선제적 대응을 위해 조기경보시스템을 개발·활용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예를 들어, Kaminsky는 지금까지 발생한 경제위기들을 취약점별로 분석한 후 이를 바탕으로 위기 발생 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조기경보시스템을 만들었다.3) 즉, 경상수지 적자 확대, 재정수지 불균형 심화, 유휴자본 증가, 외채구조 악화와 같은 4가지 대내여건과 국제금융자본의 급격한 유출입, 글로벌 경제주체들의 자기실현적 기대 등 2가지 대외여건이 취약해졌을 때 경제위기가 발생하며, 이 6가지 범주와 관련된 경제변수들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위기 발생 여부를 미리 알 수 있다는 주장이다.
그런데 국내 경제 상황 악화와 경제위기 간에는 상당한 선형관계(linearity)가 성립해 비교적 예측이 정확하지만, 대외 경제 여건과 실제 위기 발생 간에는 비선형성(non-linearity)이 존재해 잘못된 예측을 할 가능성이 높다. 예를 들어, A와 B라는 두 나라의 GDP 대비 재정수지 적자의 비율이 똑같이 50%씩 높아지면 두 나라의 경제위기 발생 가능성 역시 같은 비율로 늘어날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다. 그러나 글로벌 유동성이 5% 감소할 경우에는 A국과 B국의 경제위기 발생 가능성이 같은 정도로 커진다고 확신할 수 없다. 국제금융시장 참가자들의 자금 회수 비율이 나라별로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글로벌 유동성을 5% 줄여야 하는 상황에서 모든 나라에 대한 투자를 똑같이 5%씩 줄이지 않고, A국 투자를 10% 줄이는 대신 B에 대한 투자 비율을 그대로 유지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처럼 조기경보시스템이 예측 오류를 범할 가능성은 세계 경제 통합이 심화될수록 더욱 커지고 있다. 과거 금융시장 개방 폭이 낮을 때는 국내 경제 상황 악화가 국내 현상으로 그치는 경우가 많았고 자국 경제에 대해 유사한 수준의 정보와 기대를 갖고 있던 국내 경제주체들이 비슷한 행동 방식을 보여 예측했던 결과에 접근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금융시장 개방과 정보통신 기술 발달로 한 나라의 거시경제 충격이 곧바로 글로벌 시장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구조로 바뀌어감에 따라 예상이 빗나가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더군다나 위기 상황이 아닌데도 위기가 올 것이라고 경고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는 것도 문제다.4) 잘못된 경보가 경제 주체들의 불안과 이에 따른 투기적 행동을 촉발할 경우 새로운 위기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III. 수형도를 이용한 위기 분석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좀더 현실적인 접근을 생각해 볼 수도 있다. 위기의 유형을 발생 원인이나 세대에 따라 일괄적으로 나누기보다는 관찰가능한 현상(observed situation)을 기준으로 위기를 분류하고, 각 위기를 촉발할 수 있는 잠재 요인들의 시발부터 최종 결과로 이어질 때까지 전체 연결 과정을 수형도(tree diagram)를 펼쳐 나가듯ㅇ 검토하는 방식이다(<그림 1> 참조).
즉, 발생 가능한 모든 경제위기를 가장 두드러진 현상에 따라 금융위기, 외환위기, 외채위기 등의 세 가지 큰 유형으로 분류하고, 각 위기의 발전 과정을 역순으로 추적해 출발점으로 의심되는 초기 원인 변수들을 찾아낸 후, 이 중 현실 경제에서 특이한 움직임을 보이는 변수들을 중심으로 단계별 위험 도달 수준과 그 다음 단계로의 발전 가능성을 모니터링하고 분석하는 것이다. 이 방식은 변수들의 독립적인 움직임 외에 각 변수가 촉발할 수 있는 여러 후속 과정들을 함께 고려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하다. 이와 같은 수형도 전개 방식의 접근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첫째,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쉽고 각 변화 과정에 대한 관찰이 용이하다. 예컨대 확정적 선형함수의 형태를 갖는 조기경보시스템에서는 고유가처럼 모형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새로운 변수의 영향을 반영하기 어렵지만, 이 방식에서는 인플레이션을 촉발해 금융위기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은 변수로 중요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둘째, 거시적 현상 뒤에 가려진 미시적 요인의 움직임에 주목할 수 있다. 한 나라의 경상수지 적자가 갑자기 커질 경우 거시지표 상의 움직임만 보는 것이 아니라, 이런 변화를 초래한 것으로 의심되는 무역구조 변화를 함께 분석한다. 소비재 수입이 증가한 데 따른 무역수지 악화와 중간재나 자본재 수입 증가에 의한 무역수지 악화는 그 성격이 전혀 다르기 때문이다.
셋째, 경제주체들이 과거 경험을 통해 현재의 행동 패턴을 변경하는 학습 효과를 반영할 수 있다. 지난 1980년대 초, 고유가 시기에 설비투자를 늘렸다가 유가 하락과 함께 외채위기에 빠졌던 국가들은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경기가 좋아지더라도 투자를 쉽게 늘리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이런 나라들의 투자 증가율이 높아질 때는 어떤 부문에 대한 투자가 늘고 있는지를 자세히 살핀다.
넷째, 정보의 불완전성과 기대의 변동성을 충분히 고려할 수 있어 관찰 변수와 예측치 간에 나타났던 비선형성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DP 대비 외채 비중이 갑자기 높아졌다고 해서 무조건 경고 시그널을 보내는 것이 아니라 늘어난 외채의 성격이나 장단기 외채구조 변화 등을 꼼꼼히 살핀 후 실제 위기로의 확산 가능성을 판단한다.
물론 단점도 있다. 최종적인 위기의 유형은 3가지로 많지 않지만, 각 단계별 의심 변수들을 찾는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변수가 무한정 늘어날 수 있다. 또, 추론 과정이 정교하지 않으면 꼭 필요한 변수를 누락하거나 불필요한 변수들을 포함시키는 우를 범할 수 있다. 아울러 각 변수들의 움직임에 대한 정성적 분석이 많아 다른 위기 탐지 모형들처럼 실시간 경보를 내기 어렵다는 점도 한계이다.
이 같은 단점들을 고려하여 실제 분석 과정에서는 관찰 부담이 너무 커지지 않도록 변수의 개수를 적절히 제한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렇게 선정한 후보들 중에 최근 세계 경제에서 혹은 특정국 경제에서 나타난 급격한 변화 움직임과 연관된 변수들로 분석 범위를 좁힌 후 이 변수들이 어느 방향으로 움직일 것인지, 위기 상황과의 거리가 어느 정도 가까워졌는지, 그리고 앞으로 얼마나 더 가까워질 것인지 등을 분석하는 것이다.
Ⅳ. 경제위기 발생 가능성 진단
1990년 이후 빠르게 진행되어 온 시장 개방과 금융의 세계화는 세계 경제의 성장 잠재력을 높이고, 빈곤에 시달리던 신흥경제권 국가들을 세계 경제의 주역으로 재등장시키는 성과를 이뤄냈다. 그러나 자본자유화와 변동환율제도의 확산은 자본의 이동을 쉽게 만들었고 이는 곧 금융시장의 변동성을 높여 경제가 충분히 성숙하지 못한 신흥경제권 국가들로 하여금 해외자본의 과도한 유입 및 유출이 발생할 때마다 주기적으로 경기 과열과 침체에 빠지게 만드는 부작용을 낳기도 하였다. 금융기관에 대한 정부의 감독이 소홀하거나 개인과 기업에 대한 금융기관들의 신용 관리 노하우가 불충분한 나라 중에는 경기 급등락에 따른 충격으로 금융위기에 노출되는 경우도 있었으며, 대외 거래 비중이 높은 나라들에서는 외환위기나 외채위기가 발생하기도 했다.
특히 최근에는 미국 서브프라임 사태 해결에 대한 부정적 전망이 늘어나고 지난 10년 간 큰 폭의 상승세를 보였던 주식, 부동산 등 자산의 가격 하락세가 두드러지면서, 글로벌 금융 쇼크, 즉 투자자들의 급격한 자금 회수나 안전자산으로의 이동 러시가 발생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이런 우려가 현실화될 경우 모처럼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신흥경제권 국가들이 경제위기에 빠져들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그림 2> 참조).
변수 선정 시 유의사항
다음에서는 글로벌 금융 쇼크가 발생할 경우 어떤 나라들이 실제 위기에 빠질 가능성이 높은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위기 발생 가능성을 탐지할 수 있는 변수를 선정해야 한다. 그 대상은 위기의 최초 시발점이라 할 수 있는 기본적인 거시경제 지표들일 수도 있고, 위기에 좀 더 가까워진 한 두 단계 상위 지표들일 수도 있다. 즉 경제위기 조짐이 거의 없는 상황에서는 저축률이나 환율 등 출발점에 가까운 지표들을 확인해야 하지만, 어느 정도 위험 징후가 드러난 상황에서는 신용창출 규모나 국공채 원리금 상환 규모 등 2단계 또는 3단계 지표에 관심을 갖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 물론 이 변수들을 모두 모니터링 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 중에서 최근 세계 경제 변화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을만한 변수들만을 고르면 된다.
이렇게 관측 변수를 결정하면 해당 지표들의 국별, 기간별 움직임을 통해 후보 국가의 범위를 좁힐 수 있다. 후보 그룹이 어느 정도 정해지면 미시적, 정성적 분석을 통해 실제 위기 발생 가능성을 짐작할 수 있다.
관측 변수 선정 결과
본 연구에서는 먼저 경제위기와 연관성이 있을만한 다수의 변수들을 검토한 후 그 중에서 이 연구의 목적인 글로벌 금융쇼크의 영향을 가장 잘 나타내 줄만한 지표들을 남겼다. 변수 선정 시 처음 고려한 기준은 경제의 펀더멘털, 대외거래, 자산 및 금융 시장, 재정 건전성 등이며, 이를 보여줄 지표로 국내총생산, 국민총소득, 소비지출, 투자, 물가, 주가, 주택가격, 금리, 환율, 외환보유고, 장단기 공공 및 민간 외채, 경상수지, 수입, 수출, 교역조건, 재정수지 등을 선택했다. 그리고 이 중에서 글로벌 금융쇼크의 영향과 관련해, 투자자들이 자금 회수 여부를 결정할 때 고려할만한 변수나 실제 자금 회수가 발생할 때 영향을 많이 받을 변수를 골랐다. 국내 경제의 건전성, 대외 거래의 안정성이 전자에 속하는 기준이라면 외채 만기 구조, 국내외 금리 격차 등은 후자를 반영한다.
이런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선택한 관측 변수가 소비자물가 상승률, GDP 대비 경상수지 비중, GDP 대비 단기외채 비중, 국내외 실질금리 차 등 4개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각국 내수경기 상황과 거시경제적 건전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변수이며, GDP 대비 경상수지 비중을 통해서는 대외거래 안정성을 확인할 알 수 있다. 단기외채 비중은 글로벌 자금 회수의 영향을 얼마나 크게 받을 것인지를 보여주고, 국내외 금리 차는 글로벌 투자자들이 안전자산으로의 이동 여부를 결정할 때 고려하는 대표적인 임계변수로 골랐다.
● 1차 분석 : 거시 정량 분석
<그림 3>은 이렇게 선정한 4개의 지표를 기준으로 신흥경제권에 속하는 나라들이 어떠한 상황에 처해 있는지를 보여준다. 네 개의 변수에 대해 각각 따로 표시하는 것보다는 서로 관련성이 높은 두 개의 변수를 골라 2차원 공간에 나타내는 것이 상황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예컨대, 물가상승률만을 고려하면 우크라이나가 베트남보다 훨씬 위험한 국가인 것처럼 보이지만, 우크라이나는 경상수지 적자 비중이 5%를 밑돌아 대외 거래의 안정성 면에서 훨씬 나은 상황임을 알 수 있다. 즉, 첫 번째 그림의 좌표 평면을 4개의 분면으로 나눌 경우 2사분면(좌측 상단)에 위치할수록 대외 부문에 의한 경제위기 가능성이 높고, 4사분면에 가까울수록 안전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두 번째 그림은 경상수지 적자 비중을 국내외 실질금리 차이와 함께 나타낸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상수지 적자 비중이 높으면 불안 요인 발생 시 자금 유출과 통화가치 하락, 즉 외환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간주하지만 국내 금리가 글로벌 금리보다 높으면 머물러 있을 유인이 더 높아져 이를 상쇄할 수 있다. 따라서 3사분면(좌측 하단)에 위치한 국가들에서 외환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세 번째 그림은 단기외채 비중과 국내외 실질금리 차이를 나타낸 것으로 해외투자자들이 자금 회수에 나설 때 어느 나라가 충격을 많이 받을 것인지를 보여준다. 이 그림에서는 국내 금리가 해외 금리보다 높고 단기외채 비중이 낮을수록, 즉 2사분면(좌측 상단)에 위치할수록 자금 회수 가능성이나 글로벌 자금 회수에 따른 충격의 크기가 작다. 반대로 4사분면(우측 하단)에 위치한 라트비아, 불가리아 등은 국제금융시장에서 큰 충격이 있을 경우 외채위기에 빠질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
정리하면, 세 가지 그림의 위험 영역에 2회 이상 중복으로 노출된 나라들, 즉 베트남, 불가리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우크라이나, 남아공 등이 경제위기 발생 가능성이 높은 후보국들이다. 특히 세 개의 그림 모두에서 위험영역에 속한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불가리아는 외환위기 뿐만 아니라 외채위기의 위험성도 큰 상태다.
● 2차 분석 : 수형도를 이용한 정성 분석
이렇게 총 여섯 개 나라를 경제위기 발생 가능성이 높은 1차 후보국으로 선정했지만, 글로벌 금융 쇼크 발생 시 이 나라들에서 모두 외환위기나 외채위기가 발생한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더군다나 1차 분석 과정은 경상수지, 국내외 금리 차, 단기외채 비중 등 대외거래와 관련된 지표들만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국내 요인에 의해 발생하기 쉬운 금융위기를 탐지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각국에 대한 문헌 조사, 미시적 이해 등 정성적 분석을 통해 각 나라의 여러 경제 부문이 수형도 상 어디쯤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파악해야 실제 위기 발생 가능성을 가늠할 수 있다.
<그림 4>의 수형도에서 1차 분석 결과에서 선정된 후보국들이 도달해 있는 지점을 찾아보면 고금리, 인플레이션 등은 세 단계만 더 발전하면 외환위기로 연결되며, 경상수지 적자 확대나 과도한 외채는 두 단계만 더 나가면 외채위기를 촉발하리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차 분석 결과에서 외환위기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꼽힌 베트남의 경우, 현재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되는 것은 높은 인플레이션과 늘어나는 경상수지 적자이다. 그러나 아직 개인 파산이 늘어나는 조짐이 나타나지 않았다는 점에서 인플레이션의 파급 효과는 크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다. 경상수지 적자 역시 수출입의 내용을 살펴보면 중간재, 자본재 수입이 많아 그다지 비관적이지 않다. 즉, 1차 분석 결과에서 위기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지적되었다 하더라도 최종 경제위기까지 도달 단계가 많이 남아 있다면 상대적으로 안전하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외환보유고 절대 규모가 크지 않다는 점에서 베트남 정부가 지나친 환율 방어에 나서는 등의 예기치 못한 정책 변화로 투기적 공격의 빌미를 제공할 경우 급격한 외화 유출이 이뤄져 최종 위기에 급속도로 가까워지게 될 가능성이 높은 편이다(p.14 박스기사 참조).
외채위기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라트비아의 경우, 단기외채의 대부분이 공공부문이 아닌 민간부문 외채라는 점에서 당장 위기가 현실화될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EU 가입 이후 서유럽 기업들의 직접투자가 늘어나면서 생긴 외채인데다 외채 도입에 대한 의사결정이 시장을 통해 이뤄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단기간에 급증한 유동성이 투자보다 소비를 먼저 증가시켜 내수가 과열 징후를 보이는데다, 외국인 직접투자 기업들에 대한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아 어떤 이유로 이 기업들이 철수를 결정할 경우 급격한 붕괴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 금융위기 발생 가능성에 대한 고려
또 한 가지 유의해야 할 것은 1차 분석 과정에서 확인하지 못한 금융위기와 관련된 부분들이다. 수형도 전개 과정을 따라가보면 금융위기로 직결되는 채권회수 불능 사태는 과도한 신용 창출, 자산 가격 급락, 개인 파산 증가 등의 현상이 확산될 때 발생함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이 현상들과 관련된 원인 변수들은 인플레이션을 제외하면 모두 1차 분석 과정에서 전혀 고려하지 않았던 지표들이다. 하지만 1차에서는 확인하지 못했더라도 수형도 상에서 최종 위기와 가까운 단계의 현상이 관찰되는 나라가 있다면 실제로는 위기 발생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외환위기나 외채위기보다 좀 더 면밀한 정성 분석(qualitative analysis)이 필요하다.
● 금융위기 가능성 분석 결과
신흥경제권 각국에 대한 금융위기 발생 가능성 분석 결과 브라질, 칠레, 러시아 등이 금융위기 가능성이 높은 국가로 꼽혔다. 경상수지, 금리, 물가, 단기외채 등 대외거래 측면에서는 매우 건전한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최근 급격히 팽창하고 있는 국내 신용과 이에 기반한 소비 증가, 정부의 금융감독 부실, 사금융 증가 등 대내여건이 좋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이다. 이 나라들은 과거 수차례의 외환위기와 외채위기를 경험하면서 대외거래 관련 부분에서는 상당한 노하우를 획득했지만, 국내 경제가 장기간 호황을 보인 적이 없어 국내 신용 관리나 금융 감독 등의 측면에서는 발전 속도가 느린 편이다.
특히 브라질의 경우 최근 연평균 개인신용 증가율이 33%로 급등한데다, 하향 안정세를 보이던 금리가 다시 상승세로 바뀌며 신용카드 부도 등 개인의 채무 불이행이 늘어나고 있다. Fostel & Kaminsty(2007)은 브라질, 칠레 등의 국제금융시장 차입 여건이 빠르게 개선되고 있지만 그 이유의 상당부분이 글로벌 유동성 증가 때문임을 지적하며 경계심을 늦추지 말아야 할 것을 권고한다. 더군다나 아직까지도 은행, 신용카드 등 공적 금융기관보다 마이크로크레딧, 팩토링, 네트워크 파이낸싱, 계(契) 등 사금융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많아 정부의 금융감독을 받지 않을 뿐만 아니라, 급팽창하는 대출 규모에도 불구하고 정교한 신용 평가나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Ⅴ. 결론
해외 자금 회수 등과 같은 글로벌 금융 쇼크는 거시경제 기반이 취약한 나라들을 중심으로 급격한 외화 유출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 이럴 경우, 1차 검정에서 선정한 6개 나라가 직접적인 위험에 가장 먼저 노출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경제현상은 각 경제주체 간의 상호작용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순차적으로 나타난다는 점에서 위험 신호가 곧 위기로 이어질 것이라고 해석해서는 곤란하다. 시간이 흐르면서 위험요인이 사라질 수도 있고, 위험이 오히려 기회로 바뀌는 경우도 적지 않다.
실제로 1980년대나 90년대와 달리 현재 세계 각국은 위기 관리에 대한 노하우를 상당 수준 축적했고, 성장의 축 역시 과거에 비해 훨씬 더 다변화되어 있다. 최초 충격이 수형도 상의 단계를 차차 밟아나갈수록 점점 더 많은 완충기제가 작동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는 이유다.
위기적 경제 상황을 반드시 부정적으로만 볼 필요는 없다. 속도 관리가 잘 되어 파괴적인 경제위기로 진전되는 것을 막을 수만 있다면 그 동안의 글로벌 유동성 팽창 과정에서 형성된 선진권과 신흥경제권의 버블을 털어낸다는 점에서 세계 경제의 장기적 성장에 꼭 필요한 과정이기도 하다. 지나치게 높은 자산가격과 임금, 빠른 물가상승률은 성장의 발목을 잡는 치명적인 덫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왕 앓을 수밖에 없는 몸살이라 하더라도 얼마나 짧고 가볍게 털고 일어날 수 있는가는 제각기 다르다. 혼란스런 글로벌 경제의 조정 과정 속에서 신흥경제권 국가들이 각종 경제위기의 위험을 얼마나 잘 피해 갈 것인지는 향후 각국의 정책적 대응 노력을 살펴보면 가늠할 수 있을 것이다.
< 참고문헌 >
권기수, “최근 브라질 경제의 안정적 성장 배경과 전망,” KIEP 지역경제 포커스,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8년 4월
김경수, “효율적 외환위기 예측시스템의 구축 방안:신호접근모형을 중심으로,” 한국금융연구원, 2004년 12월
김경수, “새로운 목적함수를 이용한 외환위기 예측모형의 구축과 성과,” 국제경제연구 제11권 제3호, 2006년 12월
김태윤, 황창하, 이종규, “신경망을 이용한 경제상황 판단지표 개발,” 금융경제연구 제124호, 한국은행, 2002년 2월
박대근, “한국의 외환위기와 외채,” 경제분석 제5권 제1호, 한국은행, 1999년 1월
Catao, Luis, Douglas Laxton, and Adrian Pagan, “Monetary Transmission in an Emerging Targeter: The Case of Brazil,” IMF Working Paper 08/191, August 2008
Fostel, Ana and Graciela Kaminsky, “Latin America’s Access to International Capital Markets : Good Behavior or Global Liquidity?,” WP13194, NBER, June 2007
Goncalves, Maria, “The Brazilian Banking System,” Fitch Ratings, July 2006
Guimaraes, Bernardo, “Vulnerability of currency pegs: evidence from Brazil,” working paper, LSE, March 2008
Kaminsky, Graciela L., “Currency Crises: Are they all the same?,” Journal of International Money and Finance Vol. 25: 503-527, 2006
Kaminsky, Graciela L. and Carmen M. Reinhart, “The Twin Crises: The Causes of Banking and Balance of Payments Problems,” American Economic Review Vol. 89: 473-500, 1999
Leonardo Miceli, “Ghosts from the past no longer threaten the current account,” Inside Brazil, Tendencias, July 14th 2008
Reinhart, Carmen M and Kenneth S. Rogoff, “Is the 2007 U.S. Sub-Prime Financial Crisis So Different? An International Historical Comparison,” working paper, Harvard University, January 14th 2008
-LG 경제연구원 2008.08.25
분석 결과, 글로벌 금융쇼크가 발생할 경우 베트남, 우크라이나, 라트비아 등 6개국은 대외 충격에 취약해 외환위기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특히 라트비아, 불가리아, 리투아니아 3개국은 외환위기 뿐만 아니라 외채위기의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과거 수차례 외채위기를 겪었던 브라질, 칠레, 러시아 등은 대외거래 지표들의 개선으로 외환위기나 외채위기 가능성은 별로 없으나, 은행이나 카드사 등 금융기관 및 개인신용 부실에 의한 금융위기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I. 서론
유가 급등락과 미국 서브프라임 사태의 뒤를 이어 세계 경제 곳곳에서 적색 신호등이 켜지고 있다. 인플레이션 압력 상승이 실물경제를 위축시키고, 글로벌 유동성 위축 등 선진권 금융시장 불안에 따른 자본 흐름의 변화가 베트남, 불가리아 등 신흥경제권(new emerging economy)에 큰 충격을 줄 것이라는 우려가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지난 세기 동안 미국, EU, 일본 등 선진권 경기의 부침에 따라 함께 춤추는 양상을 보여왔던 세계 경제는 2000년대 이후 중국, 인도 등 신흥경제권의 부상으로 성장의 축이 다변화되면서 꾸준한 성장세를 보여 왔다. 이른바 ‘장기적 안정(Great Moderation)’ 시기에 접어들었다는 평가마저 나올 정도였다. 그러나 전세계적 자본시장 개방 움직임과 미국-동아시아 간 국제수지 불균형(Global Imbalance) 심화로 말미암은 금융시장 혼란이 맞물리면서 선진국과 신흥경제권이 함께 위협을 받는 모양새로 바뀌고 있다.
최근 유가 상승세가 잠시 멈추고 미 달러화 가치가 조금씩 회복세를 나타내면서 신흥경제권 위기를 촉발시킬 수 있는 가시적인 요인들이 다소 줄어든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지난해 평균 가격에 비해 여전히 50% 이상 높은 원자재 가격과 계속 이어지는 미국 금융기관들의 부실 소식을 고려하면 상황이 악화될 가능성은 여전히 높은 형편이다.
이 글의 목적은 세계 경제 곳곳에 산재한 불안 요인들이 예기치 못한 변수에 의해 새로운 위험을 촉발할 경우 신흥경제권 국가들에서 나타날 수 있는 위기의 형태와 리스크 수준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경제위기의 종류와 원인, 확산 과정 및 사전 예측에 대한 기존 연구 성과를 살펴본다. 이어 신흥경제권 주요국들이 처해 있는 현재 상황을 진단하고, 위기가 현실화될 경우 우리 기업들에게 미칠 영향을 전망한다.
II. 경제위기의 이해
경제위기는 일반적으로 한 나라 혹은 한 지역 경제가 예기치 않게 통제 불가능할 정도의 급변동 상황에 빠지는 상황을 의미한다. 위기를 정의하고 식별하는 방식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경제학자들은 1970년 이후 지금까지 약 100차례의 경제위기가 있었던 것으로 집계하고 있다.1) 경제위기의 징후를 포착하고 이에 적절히 대비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점들을 이해해야 한다.
먼저, 경제위기에는 서로 구분되는 다양한 유형이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그래야만 적절한 대응책을 마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는 위기의 징후와 증상에 따라 △은행이나 신용카드 회사 등이 지급 불능 사태에 빠지는 금융위기 △자국 통화가 급격하게 절하되는 외환위기 △국내 유동성이 부족해 대외 채무를 이행하지 못하는 외채위기 등으로 분류된다. 발생 원인에 따라 △경상수지 및 재정수지의 취약성, 기업과 금융권의 재무건전성 악화, 외채 구조의 급변 등 국내 요인에 따른 위기와 △글로벌 유동성 변동, 해외 경제주체들의 기대의 변화에 따른 자기실현적(self-fulfilling) 위기 등 해외 환경 변화에 따른 위기로 구분되기도 한다. 발생 시기를 기준으로 경제위기의 단계 구분이 이루어지기도 한다.2) Kaminsky 등에 따르면 경제위기는 시기별로 삼분할 수 있다고 보는 바, △1세대 위기(first-generation model) : 수입대체 산업화 전략과 고정환율제, 무분별한 재정지출 및 통화증발 등을 원인으로 하는 1960, 70년대 브라질, 아르헨티나, 멕시코 등 중남미 국가들의 경제불안 △2세대 위기 : 경기조정을 위한 정부의 과도한 정책 개입이 경제주체들의 기대나 각종 루머와 맞물려 자기실현적 위기를 초래한, 1990년대 초 유럽 통화통합 시기 영국, 이탈리아 등의 외환시장 혼란 사태 △3세대 위기 : 불완전 정보와 도덕적 해이가 결정적 요인이었던 1990년대 중남미와 아시아 5개국의 외환위기 등이 그것이다.
둘째, 경제위기의 탐지와 경보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위험에 대한 조기경보 시스템(EWS·early warning system)이 갖춰지면 위기 발생을 막기 위한 선제적 정책 대응이 가능해 사태 악화를 상당 부분 막아줄 수 있기 때문이다. 경제위기를 예측하기 위한 노력은 여러 가지 위험 징후가 실제 위기로 이어질 것인가를 판단하는 임계 기준에 관한 연구, 예측 결과의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 등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다. 위기의 원인과 성격이 시대별로 다르게 나타남에 따라 이런 변화 추세를 모형에 반영하기 위한 노력도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세계 경제의 개방과 통합 진전으로 경제환경의 변화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이러한 분석 모형이 갖는 한계가 두드러지고 있는 상황이다.
셋째, 다양한 위기 각각의 유형별 전개 패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는 경제위기 징후가 나타날 때 향후 전개 방향을 예측하고 대응책을 마련하는 데 도움을 준다. ‘외환위기-금융위기-외채위기’의 3분법을 따를 경우, 외환위기와 외채위기는 원인이나 파급 경로 면에서 상당 부분 일치하는 반면 금융위기는 각국 고유의 경제 상황에 따라 진행 경로가 달라진다. 예컨대 1980년대 초와 1990년대 말 중남미 각국의 외채위기나 1992년 영국 파운드화 폭락, 1997년 아시아 각국 통화의 폭락과 같은 외환위기는 글로벌 자본 이동의 급변에 대한 미숙한 정책 대응이 주 원인이었으며, 그 영향은 국제 금융시장 전체의 신용경색으로 이어졌다. 반면 대표적 금융위기 사례인 1980년대 미국의 저축대부조합 파산과 1998년 롱텀캐피탈(LTCM) 파산, 2004년 한국의 신용카드 사태 등은 급격한 금리 변동이나 금융감독 제도 부실, 신용정보 왜곡 등이 원인이었고 사태의 파급 범위 역시 국내 경제로 국한되었다.
조기경보시스템(EWS)의 한계
많은 경제학자들은 경제위기에 대한 선제적 대응을 위해 조기경보시스템을 개발·활용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예를 들어, Kaminsky는 지금까지 발생한 경제위기들을 취약점별로 분석한 후 이를 바탕으로 위기 발생 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조기경보시스템을 만들었다.3) 즉, 경상수지 적자 확대, 재정수지 불균형 심화, 유휴자본 증가, 외채구조 악화와 같은 4가지 대내여건과 국제금융자본의 급격한 유출입, 글로벌 경제주체들의 자기실현적 기대 등 2가지 대외여건이 취약해졌을 때 경제위기가 발생하며, 이 6가지 범주와 관련된 경제변수들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위기 발생 여부를 미리 알 수 있다는 주장이다.
그런데 국내 경제 상황 악화와 경제위기 간에는 상당한 선형관계(linearity)가 성립해 비교적 예측이 정확하지만, 대외 경제 여건과 실제 위기 발생 간에는 비선형성(non-linearity)이 존재해 잘못된 예측을 할 가능성이 높다. 예를 들어, A와 B라는 두 나라의 GDP 대비 재정수지 적자의 비율이 똑같이 50%씩 높아지면 두 나라의 경제위기 발생 가능성 역시 같은 비율로 늘어날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다. 그러나 글로벌 유동성이 5% 감소할 경우에는 A국과 B국의 경제위기 발생 가능성이 같은 정도로 커진다고 확신할 수 없다. 국제금융시장 참가자들의 자금 회수 비율이 나라별로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글로벌 유동성을 5% 줄여야 하는 상황에서 모든 나라에 대한 투자를 똑같이 5%씩 줄이지 않고, A국 투자를 10% 줄이는 대신 B에 대한 투자 비율을 그대로 유지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처럼 조기경보시스템이 예측 오류를 범할 가능성은 세계 경제 통합이 심화될수록 더욱 커지고 있다. 과거 금융시장 개방 폭이 낮을 때는 국내 경제 상황 악화가 국내 현상으로 그치는 경우가 많았고 자국 경제에 대해 유사한 수준의 정보와 기대를 갖고 있던 국내 경제주체들이 비슷한 행동 방식을 보여 예측했던 결과에 접근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금융시장 개방과 정보통신 기술 발달로 한 나라의 거시경제 충격이 곧바로 글로벌 시장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구조로 바뀌어감에 따라 예상이 빗나가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더군다나 위기 상황이 아닌데도 위기가 올 것이라고 경고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는 것도 문제다.4) 잘못된 경보가 경제 주체들의 불안과 이에 따른 투기적 행동을 촉발할 경우 새로운 위기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III. 수형도를 이용한 위기 분석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좀더 현실적인 접근을 생각해 볼 수도 있다. 위기의 유형을 발생 원인이나 세대에 따라 일괄적으로 나누기보다는 관찰가능한 현상(observed situation)을 기준으로 위기를 분류하고, 각 위기를 촉발할 수 있는 잠재 요인들의 시발부터 최종 결과로 이어질 때까지 전체 연결 과정을 수형도(tree diagram)를 펼쳐 나가듯ㅇ 검토하는 방식이다(<그림 1> 참조).
즉, 발생 가능한 모든 경제위기를 가장 두드러진 현상에 따라 금융위기, 외환위기, 외채위기 등의 세 가지 큰 유형으로 분류하고, 각 위기의 발전 과정을 역순으로 추적해 출발점으로 의심되는 초기 원인 변수들을 찾아낸 후, 이 중 현실 경제에서 특이한 움직임을 보이는 변수들을 중심으로 단계별 위험 도달 수준과 그 다음 단계로의 발전 가능성을 모니터링하고 분석하는 것이다. 이 방식은 변수들의 독립적인 움직임 외에 각 변수가 촉발할 수 있는 여러 후속 과정들을 함께 고려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하다. 이와 같은 수형도 전개 방식의 접근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첫째,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쉽고 각 변화 과정에 대한 관찰이 용이하다. 예컨대 확정적 선형함수의 형태를 갖는 조기경보시스템에서는 고유가처럼 모형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새로운 변수의 영향을 반영하기 어렵지만, 이 방식에서는 인플레이션을 촉발해 금융위기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은 변수로 중요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둘째, 거시적 현상 뒤에 가려진 미시적 요인의 움직임에 주목할 수 있다. 한 나라의 경상수지 적자가 갑자기 커질 경우 거시지표 상의 움직임만 보는 것이 아니라, 이런 변화를 초래한 것으로 의심되는 무역구조 변화를 함께 분석한다. 소비재 수입이 증가한 데 따른 무역수지 악화와 중간재나 자본재 수입 증가에 의한 무역수지 악화는 그 성격이 전혀 다르기 때문이다.
셋째, 경제주체들이 과거 경험을 통해 현재의 행동 패턴을 변경하는 학습 효과를 반영할 수 있다. 지난 1980년대 초, 고유가 시기에 설비투자를 늘렸다가 유가 하락과 함께 외채위기에 빠졌던 국가들은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경기가 좋아지더라도 투자를 쉽게 늘리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이런 나라들의 투자 증가율이 높아질 때는 어떤 부문에 대한 투자가 늘고 있는지를 자세히 살핀다.
넷째, 정보의 불완전성과 기대의 변동성을 충분히 고려할 수 있어 관찰 변수와 예측치 간에 나타났던 비선형성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DP 대비 외채 비중이 갑자기 높아졌다고 해서 무조건 경고 시그널을 보내는 것이 아니라 늘어난 외채의 성격이나 장단기 외채구조 변화 등을 꼼꼼히 살핀 후 실제 위기로의 확산 가능성을 판단한다.
물론 단점도 있다. 최종적인 위기의 유형은 3가지로 많지 않지만, 각 단계별 의심 변수들을 찾는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변수가 무한정 늘어날 수 있다. 또, 추론 과정이 정교하지 않으면 꼭 필요한 변수를 누락하거나 불필요한 변수들을 포함시키는 우를 범할 수 있다. 아울러 각 변수들의 움직임에 대한 정성적 분석이 많아 다른 위기 탐지 모형들처럼 실시간 경보를 내기 어렵다는 점도 한계이다.
이 같은 단점들을 고려하여 실제 분석 과정에서는 관찰 부담이 너무 커지지 않도록 변수의 개수를 적절히 제한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렇게 선정한 후보들 중에 최근 세계 경제에서 혹은 특정국 경제에서 나타난 급격한 변화 움직임과 연관된 변수들로 분석 범위를 좁힌 후 이 변수들이 어느 방향으로 움직일 것인지, 위기 상황과의 거리가 어느 정도 가까워졌는지, 그리고 앞으로 얼마나 더 가까워질 것인지 등을 분석하는 것이다.
Ⅳ. 경제위기 발생 가능성 진단
1990년 이후 빠르게 진행되어 온 시장 개방과 금융의 세계화는 세계 경제의 성장 잠재력을 높이고, 빈곤에 시달리던 신흥경제권 국가들을 세계 경제의 주역으로 재등장시키는 성과를 이뤄냈다. 그러나 자본자유화와 변동환율제도의 확산은 자본의 이동을 쉽게 만들었고 이는 곧 금융시장의 변동성을 높여 경제가 충분히 성숙하지 못한 신흥경제권 국가들로 하여금 해외자본의 과도한 유입 및 유출이 발생할 때마다 주기적으로 경기 과열과 침체에 빠지게 만드는 부작용을 낳기도 하였다. 금융기관에 대한 정부의 감독이 소홀하거나 개인과 기업에 대한 금융기관들의 신용 관리 노하우가 불충분한 나라 중에는 경기 급등락에 따른 충격으로 금융위기에 노출되는 경우도 있었으며, 대외 거래 비중이 높은 나라들에서는 외환위기나 외채위기가 발생하기도 했다.
특히 최근에는 미국 서브프라임 사태 해결에 대한 부정적 전망이 늘어나고 지난 10년 간 큰 폭의 상승세를 보였던 주식, 부동산 등 자산의 가격 하락세가 두드러지면서, 글로벌 금융 쇼크, 즉 투자자들의 급격한 자금 회수나 안전자산으로의 이동 러시가 발생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이런 우려가 현실화될 경우 모처럼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신흥경제권 국가들이 경제위기에 빠져들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그림 2> 참조).
변수 선정 시 유의사항
다음에서는 글로벌 금융 쇼크가 발생할 경우 어떤 나라들이 실제 위기에 빠질 가능성이 높은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위기 발생 가능성을 탐지할 수 있는 변수를 선정해야 한다. 그 대상은 위기의 최초 시발점이라 할 수 있는 기본적인 거시경제 지표들일 수도 있고, 위기에 좀 더 가까워진 한 두 단계 상위 지표들일 수도 있다. 즉 경제위기 조짐이 거의 없는 상황에서는 저축률이나 환율 등 출발점에 가까운 지표들을 확인해야 하지만, 어느 정도 위험 징후가 드러난 상황에서는 신용창출 규모나 국공채 원리금 상환 규모 등 2단계 또는 3단계 지표에 관심을 갖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 물론 이 변수들을 모두 모니터링 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 중에서 최근 세계 경제 변화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을만한 변수들만을 고르면 된다.
이렇게 관측 변수를 결정하면 해당 지표들의 국별, 기간별 움직임을 통해 후보 국가의 범위를 좁힐 수 있다. 후보 그룹이 어느 정도 정해지면 미시적, 정성적 분석을 통해 실제 위기 발생 가능성을 짐작할 수 있다.
관측 변수 선정 결과
본 연구에서는 먼저 경제위기와 연관성이 있을만한 다수의 변수들을 검토한 후 그 중에서 이 연구의 목적인 글로벌 금융쇼크의 영향을 가장 잘 나타내 줄만한 지표들을 남겼다. 변수 선정 시 처음 고려한 기준은 경제의 펀더멘털, 대외거래, 자산 및 금융 시장, 재정 건전성 등이며, 이를 보여줄 지표로 국내총생산, 국민총소득, 소비지출, 투자, 물가, 주가, 주택가격, 금리, 환율, 외환보유고, 장단기 공공 및 민간 외채, 경상수지, 수입, 수출, 교역조건, 재정수지 등을 선택했다. 그리고 이 중에서 글로벌 금융쇼크의 영향과 관련해, 투자자들이 자금 회수 여부를 결정할 때 고려할만한 변수나 실제 자금 회수가 발생할 때 영향을 많이 받을 변수를 골랐다. 국내 경제의 건전성, 대외 거래의 안정성이 전자에 속하는 기준이라면 외채 만기 구조, 국내외 금리 격차 등은 후자를 반영한다.
이런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선택한 관측 변수가 소비자물가 상승률, GDP 대비 경상수지 비중, GDP 대비 단기외채 비중, 국내외 실질금리 차 등 4개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각국 내수경기 상황과 거시경제적 건전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변수이며, GDP 대비 경상수지 비중을 통해서는 대외거래 안정성을 확인할 알 수 있다. 단기외채 비중은 글로벌 자금 회수의 영향을 얼마나 크게 받을 것인지를 보여주고, 국내외 금리 차는 글로벌 투자자들이 안전자산으로의 이동 여부를 결정할 때 고려하는 대표적인 임계변수로 골랐다.
● 1차 분석 : 거시 정량 분석
<그림 3>은 이렇게 선정한 4개의 지표를 기준으로 신흥경제권에 속하는 나라들이 어떠한 상황에 처해 있는지를 보여준다. 네 개의 변수에 대해 각각 따로 표시하는 것보다는 서로 관련성이 높은 두 개의 변수를 골라 2차원 공간에 나타내는 것이 상황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예컨대, 물가상승률만을 고려하면 우크라이나가 베트남보다 훨씬 위험한 국가인 것처럼 보이지만, 우크라이나는 경상수지 적자 비중이 5%를 밑돌아 대외 거래의 안정성 면에서 훨씬 나은 상황임을 알 수 있다. 즉, 첫 번째 그림의 좌표 평면을 4개의 분면으로 나눌 경우 2사분면(좌측 상단)에 위치할수록 대외 부문에 의한 경제위기 가능성이 높고, 4사분면에 가까울수록 안전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두 번째 그림은 경상수지 적자 비중을 국내외 실질금리 차이와 함께 나타낸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상수지 적자 비중이 높으면 불안 요인 발생 시 자금 유출과 통화가치 하락, 즉 외환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간주하지만 국내 금리가 글로벌 금리보다 높으면 머물러 있을 유인이 더 높아져 이를 상쇄할 수 있다. 따라서 3사분면(좌측 하단)에 위치한 국가들에서 외환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세 번째 그림은 단기외채 비중과 국내외 실질금리 차이를 나타낸 것으로 해외투자자들이 자금 회수에 나설 때 어느 나라가 충격을 많이 받을 것인지를 보여준다. 이 그림에서는 국내 금리가 해외 금리보다 높고 단기외채 비중이 낮을수록, 즉 2사분면(좌측 상단)에 위치할수록 자금 회수 가능성이나 글로벌 자금 회수에 따른 충격의 크기가 작다. 반대로 4사분면(우측 하단)에 위치한 라트비아, 불가리아 등은 국제금융시장에서 큰 충격이 있을 경우 외채위기에 빠질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
정리하면, 세 가지 그림의 위험 영역에 2회 이상 중복으로 노출된 나라들, 즉 베트남, 불가리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우크라이나, 남아공 등이 경제위기 발생 가능성이 높은 후보국들이다. 특히 세 개의 그림 모두에서 위험영역에 속한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불가리아는 외환위기 뿐만 아니라 외채위기의 위험성도 큰 상태다.
● 2차 분석 : 수형도를 이용한 정성 분석
이렇게 총 여섯 개 나라를 경제위기 발생 가능성이 높은 1차 후보국으로 선정했지만, 글로벌 금융 쇼크 발생 시 이 나라들에서 모두 외환위기나 외채위기가 발생한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더군다나 1차 분석 과정은 경상수지, 국내외 금리 차, 단기외채 비중 등 대외거래와 관련된 지표들만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국내 요인에 의해 발생하기 쉬운 금융위기를 탐지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각국에 대한 문헌 조사, 미시적 이해 등 정성적 분석을 통해 각 나라의 여러 경제 부문이 수형도 상 어디쯤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파악해야 실제 위기 발생 가능성을 가늠할 수 있다.
<그림 4>의 수형도에서 1차 분석 결과에서 선정된 후보국들이 도달해 있는 지점을 찾아보면 고금리, 인플레이션 등은 세 단계만 더 발전하면 외환위기로 연결되며, 경상수지 적자 확대나 과도한 외채는 두 단계만 더 나가면 외채위기를 촉발하리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차 분석 결과에서 외환위기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꼽힌 베트남의 경우, 현재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되는 것은 높은 인플레이션과 늘어나는 경상수지 적자이다. 그러나 아직 개인 파산이 늘어나는 조짐이 나타나지 않았다는 점에서 인플레이션의 파급 효과는 크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다. 경상수지 적자 역시 수출입의 내용을 살펴보면 중간재, 자본재 수입이 많아 그다지 비관적이지 않다. 즉, 1차 분석 결과에서 위기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지적되었다 하더라도 최종 경제위기까지 도달 단계가 많이 남아 있다면 상대적으로 안전하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외환보유고 절대 규모가 크지 않다는 점에서 베트남 정부가 지나친 환율 방어에 나서는 등의 예기치 못한 정책 변화로 투기적 공격의 빌미를 제공할 경우 급격한 외화 유출이 이뤄져 최종 위기에 급속도로 가까워지게 될 가능성이 높은 편이다(p.14 박스기사 참조).
외채위기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라트비아의 경우, 단기외채의 대부분이 공공부문이 아닌 민간부문 외채라는 점에서 당장 위기가 현실화될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EU 가입 이후 서유럽 기업들의 직접투자가 늘어나면서 생긴 외채인데다 외채 도입에 대한 의사결정이 시장을 통해 이뤄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단기간에 급증한 유동성이 투자보다 소비를 먼저 증가시켜 내수가 과열 징후를 보이는데다, 외국인 직접투자 기업들에 대한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아 어떤 이유로 이 기업들이 철수를 결정할 경우 급격한 붕괴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 금융위기 발생 가능성에 대한 고려
또 한 가지 유의해야 할 것은 1차 분석 과정에서 확인하지 못한 금융위기와 관련된 부분들이다. 수형도 전개 과정을 따라가보면 금융위기로 직결되는 채권회수 불능 사태는 과도한 신용 창출, 자산 가격 급락, 개인 파산 증가 등의 현상이 확산될 때 발생함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이 현상들과 관련된 원인 변수들은 인플레이션을 제외하면 모두 1차 분석 과정에서 전혀 고려하지 않았던 지표들이다. 하지만 1차에서는 확인하지 못했더라도 수형도 상에서 최종 위기와 가까운 단계의 현상이 관찰되는 나라가 있다면 실제로는 위기 발생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외환위기나 외채위기보다 좀 더 면밀한 정성 분석(qualitative analysis)이 필요하다.
● 금융위기 가능성 분석 결과
신흥경제권 각국에 대한 금융위기 발생 가능성 분석 결과 브라질, 칠레, 러시아 등이 금융위기 가능성이 높은 국가로 꼽혔다. 경상수지, 금리, 물가, 단기외채 등 대외거래 측면에서는 매우 건전한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최근 급격히 팽창하고 있는 국내 신용과 이에 기반한 소비 증가, 정부의 금융감독 부실, 사금융 증가 등 대내여건이 좋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이다. 이 나라들은 과거 수차례의 외환위기와 외채위기를 경험하면서 대외거래 관련 부분에서는 상당한 노하우를 획득했지만, 국내 경제가 장기간 호황을 보인 적이 없어 국내 신용 관리나 금융 감독 등의 측면에서는 발전 속도가 느린 편이다.
특히 브라질의 경우 최근 연평균 개인신용 증가율이 33%로 급등한데다, 하향 안정세를 보이던 금리가 다시 상승세로 바뀌며 신용카드 부도 등 개인의 채무 불이행이 늘어나고 있다. Fostel & Kaminsty(2007)은 브라질, 칠레 등의 국제금융시장 차입 여건이 빠르게 개선되고 있지만 그 이유의 상당부분이 글로벌 유동성 증가 때문임을 지적하며 경계심을 늦추지 말아야 할 것을 권고한다. 더군다나 아직까지도 은행, 신용카드 등 공적 금융기관보다 마이크로크레딧, 팩토링, 네트워크 파이낸싱, 계(契) 등 사금융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많아 정부의 금융감독을 받지 않을 뿐만 아니라, 급팽창하는 대출 규모에도 불구하고 정교한 신용 평가나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Ⅴ. 결론
해외 자금 회수 등과 같은 글로벌 금융 쇼크는 거시경제 기반이 취약한 나라들을 중심으로 급격한 외화 유출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 이럴 경우, 1차 검정에서 선정한 6개 나라가 직접적인 위험에 가장 먼저 노출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경제현상은 각 경제주체 간의 상호작용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순차적으로 나타난다는 점에서 위험 신호가 곧 위기로 이어질 것이라고 해석해서는 곤란하다. 시간이 흐르면서 위험요인이 사라질 수도 있고, 위험이 오히려 기회로 바뀌는 경우도 적지 않다.
실제로 1980년대나 90년대와 달리 현재 세계 각국은 위기 관리에 대한 노하우를 상당 수준 축적했고, 성장의 축 역시 과거에 비해 훨씬 더 다변화되어 있다. 최초 충격이 수형도 상의 단계를 차차 밟아나갈수록 점점 더 많은 완충기제가 작동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는 이유다.
위기적 경제 상황을 반드시 부정적으로만 볼 필요는 없다. 속도 관리가 잘 되어 파괴적인 경제위기로 진전되는 것을 막을 수만 있다면 그 동안의 글로벌 유동성 팽창 과정에서 형성된 선진권과 신흥경제권의 버블을 털어낸다는 점에서 세계 경제의 장기적 성장에 꼭 필요한 과정이기도 하다. 지나치게 높은 자산가격과 임금, 빠른 물가상승률은 성장의 발목을 잡는 치명적인 덫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왕 앓을 수밖에 없는 몸살이라 하더라도 얼마나 짧고 가볍게 털고 일어날 수 있는가는 제각기 다르다. 혼란스런 글로벌 경제의 조정 과정 속에서 신흥경제권 국가들이 각종 경제위기의 위험을 얼마나 잘 피해 갈 것인지는 향후 각국의 정책적 대응 노력을 살펴보면 가늠할 수 있을 것이다.
< 참고문헌 >
권기수, “최근 브라질 경제의 안정적 성장 배경과 전망,” KIEP 지역경제 포커스,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8년 4월
김경수, “효율적 외환위기 예측시스템의 구축 방안:신호접근모형을 중심으로,” 한국금융연구원, 2004년 12월
김경수, “새로운 목적함수를 이용한 외환위기 예측모형의 구축과 성과,” 국제경제연구 제11권 제3호, 2006년 12월
김태윤, 황창하, 이종규, “신경망을 이용한 경제상황 판단지표 개발,” 금융경제연구 제124호, 한국은행, 2002년 2월
박대근, “한국의 외환위기와 외채,” 경제분석 제5권 제1호, 한국은행, 1999년 1월
Catao, Luis, Douglas Laxton, and Adrian Pagan, “Monetary Transmission in an Emerging Targeter: The Case of Brazil,” IMF Working Paper 08/191, August 2008
Fostel, Ana and Graciela Kaminsky, “Latin America’s Access to International Capital Markets : Good Behavior or Global Liquidity?,” WP13194, NBER, June 2007
Goncalves, Maria, “The Brazilian Banking System,” Fitch Ratings, July 2006
Guimaraes, Bernardo, “Vulnerability of currency pegs: evidence from Brazil,” working paper, LSE, March 2008
Kaminsky, Graciela L., “Currency Crises: Are they all the same?,” Journal of International Money and Finance Vol. 25: 503-527, 2006
Kaminsky, Graciela L. and Carmen M. Reinhart, “The Twin Crises: The Causes of Banking and Balance of Payments Problems,” American Economic Review Vol. 89: 473-500, 1999
Leonardo Miceli, “Ghosts from the past no longer threaten the current account,” Inside Brazil, Tendencias, July 14th 2008
Reinhart, Carmen M and Kenneth S. Rogoff, “Is the 2007 U.S. Sub-Prime Financial Crisis So Different? An International Historical Comparison,” working paper, Harvard University, January 14th 2008
-LG 경제연구원 2008.08.25
'Business > 2008'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듀폰 혁명 (0) | 2008.09.01 |
---|---|
당신이 화내면 그들도 화낸다 '바이러스 리더십' 공부합시다 (0) | 2008.09.01 |
러시아 에너지자원 생산 정체의 배경과 의미 (0) | 2008.08.26 |
스타벅스, '커피'로 돌아가다 (0) | 2008.08.24 |
자본시장통합법 시대의 금융환경 변화와 대응 방안 (0) | 2008.08.15 |